반응형 5. 아두이노 소자 및 모듈 소개15 2. 웨어러블 디자인 제작을 위한 기초지식 안녕하세요! Choi GPT 입니다.오늘은 웨어러블 장치를 부착하기 위한 기본적인 정보를 공유하고자 합니다.우선 전기적 신호가 연결되기 위한 2가지 방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악어클립] 악어클립은 두 개의 금속 클립이 연결된 형태로, 전선의 끝에 부착하여 전기를 쉽게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도구입니다. 일반적으로 클립의 한쪽 끝은 전선을 고정하고, 다른 쪽 끝은 전원이나 다른 전자 부품에 연결됩니다.원래는 전선과 전자 부품 간의 임시 연결을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이런 악어클립으로 연결된 형태는 기본적으로 장치를 디자인 하고자 하는 제품에 부착하기 전 동작(기능)테스트를 하기위한 용도로 많이 사용합니다.[전도성실]전도성 실은 일반적인 실과 다르게 전기를 전도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실입니다. 이 실은 .. 2024. 9. 26. 3. 릴리패드 장치 소개 안녕하세요! Choi GPT 입니다.오늘은 릴리패드 여러 장치들의 소개를 하고자 합니다.[릴리패드의 메인보드(MCU)]이렇게 다양한 MCU 보드가 있습니다.이 MCU 보드는 사람으로 비교하자면 두뇌와 동일한 기능을 합니다.우리가 작성한 프로그래밍을 통한 여러 장치를 조작(제어) 명령을 내리는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그 중에 저는 릴리패드 아두이노 USB 버전을 추천 드립니다.그 이유는 별도의 장치 없이 곧바로 PC와 연결하고 드라이버를 설정한 후에 사용이 가능합니다.단, 사용할 수 있는 핀이 상대적으로 제한된 버전이기에 많은 핀 사용이 필요할 경우아래의 릴리패드 아두이노 328 메인보드 를 사용해야 합니다.그리고 또 하나 릴리패드 아두이노 USB 버전을 보시면 다음과 같은 토글 스위치가 있습니다.한쪽은 ".. 2024. 9. 26. 1. 아두이노 릴리패드(LilyPad Arduino)의 역사와 소개 안녕하세요! Choi GPT 입니다.오늘은 아두이노 릴리패드(LilyPad Arduino)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두이노는 다양한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오픈 소스 하드웨어 플랫폼으로, 릴리패드는 특히 패션과 텍스타일 디자인 분야에서의 활용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릴리패드의 탄생 배경]릴리패드는 2007년 이탈리아의 디자이너이자 아티스트인 제시카 졸리(Jessica Rosenkrantz)와그녀의 동료들이 개발했습니다. 그들은 전자 기술과 섬유 예술의 융합을 목표로 하였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의류나 액세서리에 전자 회로를 쉽게 통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했습니다. 릴리패드는 특히 직물에 쉽게 부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기존의 아두이노 보드보다 더 유연하고 가벼운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릴리패드의 특징].. 2024. 9. 24. [팅커캐드] RGB LED 모듈을 사용해보자 안녕하세요! Choi GPT 입니다.이번 시간에 알아볼 내용은 RGB LED 모듈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KY-016 RGB LED 모듈은 빨강, 초록, 파랑 세 가지 색상의 LED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 LED의 밝기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이를 통해 다양한 색상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핀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핀맵 정보핀맵 설명R (Red) 빨간색 LED의 핀 G (Green) 초록색 LED의 핀 B (Blue) 파란색 LED의 핀 GND 공통 접지 핀 다음은 아두이노와 RGB LED의 연결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기본예제소스는 아래를 참고 바랍니다.(각각 색상별 제어 및 기타 색상-임의의 색상 제어)int redPin = 9; // 빨간색 LED 핀int greenPin = 10;.. 2024. 7. 13. [아두이노 기초] 디지털 입력 안녕하세요! Choi GPT 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아두이노 기초과정 중 디지털 입력에 대해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아두이노에서 디지털 입력(Digital Input)이라 함은, 아두이노 보드의 디지털 핀을 통해 외부 신호의 디지털 값(HIGH or LOW)을 읽어들이는 것을 말합니다. 주로 스위치, 센서와 같은 입력 장치의 신호를 읽어오는 데 사용합니다. 다음 예제파일을 테스트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하드웨어 연결에 대한 정보 입니다. 장치 아두이노 핀맵 스위치 D7 LED D13 (내장 LED 사용-따로 연결하지 않음) 다음으로 동작 소스 입니다. const int switchPin = 7; // 스위치 연결핀 const int ledPin = 13; // LED 연결핀 void setup() { .. 2024. 1. 21. [아두이노 기초] 디지털 출력 안녕하세요! Choi GPT 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내용은 아두이노 기초과정 중 디지털 출력에 대해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아두이노에서 디지털 출력(Digital Output)이라 함은, 아두이노 보드의 디지털 핀을 통해 0또는 1의 두 가지 디지털 신호 수준을 출력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5V나 3.3V와 같은 고전압 또는 0V의 저전압을 핀에서 출력할 수 있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LED, 모터, 릴레이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를 ON/OFF 제어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출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pinMode() 함수를 사용하여 해당 핀을 출력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그리고 나서 digitalWrite() 함수를 사용하여 HIGH(고전압)나 LOW(저전압)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예제파일 소스.. 2024. 1. 20.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